'국립중앙박물관' 태그의 글 목록불교인사이드
주간불교신문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21. 7. 29. 14:34

국보 반가사유상, 100일의 휴식

반응형

국보 반가사유상, 100일의 휴식
전시 준비를 위해 오는 10월 28일까지 수장고에 격납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국보 제78호와 제83호 두 점의 금동반가사유상을 같은 공간에서 상설전시 할 계획이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 지난 7월 20일, 반가사유상 전시실 개관 D-100일 맞아 불교조각실에 전시 중이던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을 수장고에 격납하였다.


오는 10월 28일 최적의 건축디자인과 설비를 갖추고 새롭게 공개될 전시실은 관람객 한 사람 한사람이 반가사유상의 ‘미소’와 ‘사유’에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아갈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될 것이다. 새로운 전시실은 상설전시관 2층에 약 440㎡ 규모로 조성되며, 이를 위해 지난 6월부터 기증관 일부를 휴실하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새로운 전시를 앞두고 수장고에 격납된 반가사유상은 상태 점검을 포함하여 촬영, 조명 테스트 등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유물관리 전문가들의 세심한 손길 아래 전시실에서 수장고로 이동하며 100일 동안의 휴식에 들어가는 반가사유상의 모습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소통망, 유튜브 URL(https://youtu.be/Kv0dSvz7-3I)등에서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김종열 기자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국외 조사 보고서 

『중국 산둥성 금동불상 조사 보고 -불교 미술의 교차로, 산둥의 금동불-』 출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중국 산둥박물관과 공동으로 중국 산둥성 출토 금동불상 25점을 조사하고 보고서를 출간하였다.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의 비교 연구를 위한 이번 공동조사는 2016년 9월 4일 ~ 9월 11일(8일간) 진행하였으며, 산둥박물관, 보싱현박물관, 타이안시박물관 소장 주요 금동불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 산둥 지역에서 출토되는 불교조각은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과 유사성을 보여 일찍부터 관심을 가졌으나, 그간 자료가 국내에 잘 소개되지 않아 관련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번 보고서에 수록된 산둥성 출토 주요 금동불상 25점은 중국 십육국시기(304~439)부터 수대(581~618)까지 제작된 상으로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해당된다. 그 가운데 11점은 명문이 새겨져 있어 삼국시대 금동불상의 연대 추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에는 서울의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도1)과 유사한 보싱현박물관 소장 금동불좌상(도2)이 포함되어 있다.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상이다. 따라서 이 상과 유사한 상이 산둥성에서 확인됨으로써 불교가 전래되는 초기부터 산둥 지역과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산둥박물관과 타이안시박물관에서는 우리나라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도3)과 같이 광배 외연에 ㄷ’자 돌기가 있는 금동광배를 조사하였다. 북위北魏(386~534) 태화太和 18년(494)과 영안永安 2년(529)의 기년이 있는 금동불상 2점은 매우 이른 시기인 북위 태화연간(477~499)부터 산둥성(山東省)에서‘ㄷ’자 돌기가 있는 금동광배가 유행하였고 부여 관북리 출토 금동광배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도4, 도5). 또한 이 조사과정에서 산둥박물관 소장 금동광배의 출토지를 밝혀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도 5). 



  이 외에도 불상 뒷면 명문에서‘관세음동상觀世音銅像’이라는 상의 존명과 재료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 산둥박물관 소장‘금동관세음보살입상’을 조사하였다. 이 상은 금으로 도금하였으면서도‘금상金像’혹은‘금동金銅’으로 표현하지 않고‘동상銅像’이라고 새겼다. 이 상과 같이 불상의 재료를 명문에 새기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상 중에는 정지원명 금동불입상 명문의‘금상金像 한 구(軀)를 제작한다’는 표현과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도쿄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 소장 갑인명 광배의‘금동석가상金銅釋迦像’이라는 표현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산둥 지역 금동불상은 명문 표현에 있어서도 유사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근 우리나라 강원도 양양 진전사지에서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보살삼존상이 출토되어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도6). 이번 조사에서는 이 상과 같이 주존불이 보살인‘금동관세음삼존보살입상’(도7)을 조사하였다. 산둥성 보싱현에서 출토된 이 상은 수대에 제작된 것이며, 명문에 따라 관세음보살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 상과 함께 발굴된 금동불상들 중에는 삼존불상 중앙의 주존이 보살인 예가 7점이나 확인되어 이 지역에서 보살형 삼존상이 유행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보살삼존상으로는 최근에 발굴된 양양출토 보살삼존상 이외에 리움미술관 소장 국보 134호‘금동보살삼존입상’이 잘 알려져 있다.



  보고서 본문에는 위에서 소개한 불상을 포함한 총 25점에 대한 사진 자료와 기본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우리나라 고대 금동불상과 양식적으로 비교한 참고 도판과 함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들어있어 고대 불교조각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보고서 출간을 계기로 향후 산둥성의 고대 불교미술을 소개하는 특별전을 마련하여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중국 산둥박물관과의 공동 연구의 경험을 기반으로, 아시아지역 박물관과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고대 아시아 금동불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3. 22. 11:53

외 규장각 의궤 한글로 번역 된다.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문헌 한글화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고전원문 한글화 및 업무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식(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배기동 관장)과 한국고전번역원(신승운 원장)은 고전문헌 한글화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3월 21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체결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고문헌을 전시와 역사자료총서 발간 등으로 공개하고 연구해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료가 한문으로 되어 있어 국민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번 협약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전문헌을 한글화하는 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배기동 관장은 “문화유산자료의 한글화 사업은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국민들에게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그 안에 담긴 뜻을 알려주는 중요한 사업이다. 그 중 고전문헌의 한글화를 우리나라 최고의 고전 번역 기관인 한국고전번역원과 함께 진행하게 되어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양해각서에 따르면 두 기관은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고전문헌의 정리와 번역 및 활용을 위한 상호 협력’,  ‘두 기관의 보유자료와 콘텐츠의 공유와 활용’, ‘전문인력 교류와 상호 시설물 이용’ 등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의 첫 대상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한문고전을 교감‧표점‧번역하는 작업이다. 이는 한국고전번역원이 중국의 고서공정에 대응하여 추진하고 있는 <한국고전총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우리 고전과 전통문화의 독자성을 수호하고 한국학 연구의 활성화와 세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추후 조선시대 역사 연구의 기초 사료이자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외규장각의궤>의 한글화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외규장각의궤의 원문 이미지 및 전자 텍스트 등 종합정보를 서비스하는 누리집(http://uigwe.museum.go.kr)을, 한국고전번역원은 <한국문집총간> ‧ <승정원일기>를 비롯한 한국 고전 자료를 집대성한 DB( http://db.itkc.or.kr)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양 기관의 협업으로 구축한 자료 역시 각 사이트에서 서비스할 계획이다.

반응형
불교인사이드 최신뉴스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8. 1. 25. 12:26

제10회 한(韓)·일(日)·중(中) 국립박물관장회의 개최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제10회 한(韓)·일(日)·중(中) 국립박물관장회의 개최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1월 25일(목)에 제10회 한·일·중 국립박물관장회의와 이 회의의 공동협력사업인 3국 공동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 韓國, 日本, 中國-’ 개막식을 개최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제안으로 2006년, 한일중 대표 국립박물관간의 공동 협력과 우호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도쿄국립박물관, 중국 국가박물관과 함께 3국 국립박물관간 공동 협의체를 창립하였다. 올해 한국에서 제 10회 회의를 개최한다. 


  지난 10여 년 동안 세 박물관은 각 박물관 누리집에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 3개 언어를 포함한 외국어판을 개설하였다. 소장품 연구, 인적교류, 학술출판, 박물관 운영과 문화재 보호의 정보 공유 등 다방면에 걸쳐 세 박물관간 교류를 심화하였다. 특히 세 박물관의 공동협력사업으로 3국 공동특별전을 관장회의와 연계하여 순환 개최하면서 3국간 교류가 더욱 내실화 되었다.


   3국 역대 공동특별전의 온라인 전시방안과 3국 공동연구주제와 학술 세미나 및 출판, 박물관 교육의 교류를 심화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문화재 보호 정보, 문화마케팅 전략 및 유네스코 관련 각국 정책방향의 상호 공유 등 여러 방면의 공동협력계획을 구체적으로 논의, 향후 실무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것이다.


  이번 관장회의와 연계하여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동안의 문화올림픽 실현의 일환으로 올림픽 마스코트인 중 하나인 ‘백호’를 주제로 3국 공동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韓國, 日本, 中國-’을 개최한다. 3국의‘호랑이’에 대한 예술적 표현과 가치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유익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 10회 동안의 성과를 돌아보고 또 세 박물관의 향후 공동협력사업의 방향을 보다 구체화하며 우호 교류를 한층 더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제11회 일중한 국립박물관장회의와 공동특별전은 2020년에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이 주최한다.

반응형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의궤 누리집, 영문 서비스 시작

- 외규장각의궤 누리집 주소: http://www.museum.go.kr/uigwe -

- 상설전시관 1층 조선실 외규장각의궤 정기 교체 


*영조 정순왕후 가례도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2018년 1월부터 외규장각의궤 누리집에서 영문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의궤 소개, 서지사항, 책별 해제, 반차도 해제와 같은 기초 자료를 영문으로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다. 앞으로 상세 자료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여 서비스 질을 높일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외규장각 의궤의 디지털 데이터를 구축하여 온라인 서비스함으로써, 자료 원본에 대한 보존성을 높이고 일반인들의 자료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였다. 이어 2017년에는 우리 문화재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고 외국인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영문 서비스와 검색 시스템 구축하였다. 


  외규장각의궤 누리집 영문 서비스 공개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조선실에서 외규장각의궤를 교체 전시한다. 전시는 조선 제21대왕 영조(英祖, 재위 1724∼1776)의 왕세제(王世弟) 책봉(冊封)과 혼례식, 왕권(王權)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의궤 4건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영조가 두 번째 왕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 1745~1805)를 맞이하는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는 왕비의 행렬만 그렸던 이전의 의궤와 달리 반차도에 국왕의 행렬이 처음으로 등장한 중요한 의궤이다. 상설전시관 조선실은 연중 무료 관람이며, 외규장각의궤는 3개월마다 교체 전시한다.


 의궤는 조선시대 국가나 왕실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를 개최한 후 그 전 과정을 기록한 일종의 종합보고서이다. 외규장각의궤는 강화도 소재 외규장각에 보관되었던 의궤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가져갔다가 2011년 한국으로 돌아왔다. 외규장각의궤는 대부분 왕이 열람한 것으로 종이, 표지, 글씨체, 그림의 수준 등이 매우 뛰어나 당시 동아시아 최고의 예술적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반응형
반응형

고려 건국 1100주년기념 
고려불감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고려 불감佛龕>을 (사)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 친구들(YFM)*로부터 기증받았다. 국립중앙박물관 후원 단체인 사단법인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 친구들은 2017년 모금을 하여 일본에 있던 <고려 불감>을 구입하고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이하는 2018년에 기증했다. (사)국립중앙박물관회의 문화재 기증은 이번이 10번째로, 지금까지 고려 나전경함, 간다라불상, 비슈누상, 미투라상 등을 기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 친구들(YFM, Young Friends of the Museum)은 (사)국립중앙박물관회의 차세대 리더 그룹으로, 우리 문화를 사랑하는 젊은 경영인들이 중심이 되어 2008년부터 활동하고 있는 문화 후원 친목 모임임.

 
이번에 기증된 <고려 불감>은 휴대용 불감으로 사찰 이외의 장소에서 예불을 돕는 기능을 하며 탑을 세울 때 안에 봉안되기도 했다. 이러한 소형 금속제 불감은 고려 말 조선 초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15여 점이 전한다. 소형 불감은 상자 형태에 지붕 모양 뚜껑이 있는 전각형과 지붕이 없는 상자형으로 구분되며 후자가 사례가 적다. 이 <고려 불감>은 희소한 상자형 불감이며, 고려 14세기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가치가 높다.

     
  이 <고려 불감>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불감 내부의 석가여래 설법 장면을 타출 기법으로 제작한 부조 장식이다. 금강역사상이 새겨진 문을 열면, 중앙에 석가여래가 있고, 좌우의 협시보살, 10대 제자와 팔부중八部衆(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이 있는 여래설법도如來說法圖가 새겨진 얇은 금속판이 덧대어 있다. 고려시대 불감 중 유일하게 팔부중이 등장하는 여래설법도로서, 조선 후기에 유행한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의 시원으로 볼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불감과 함께 전래된 관음보살상은 이 시기에 제작된 원·명대 불상 영향을 받은 소형 금동상과 양식적으로 상통하는 요소가 많다. 불감 내부의 고정 장치와 보살상의 크기를 보았을 때, 원래는 2구의 상像이 불감 안에 안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고려 불감> 성분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불감의 뚜껑, 앞면, 뒷면과 문門이 순동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했다. 반면 보살상은 재질이 은이며, 금으로 도금하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 불감>은 형태가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어서 고려시대부터 등장하는 금속제 불감의 전개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기증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사진만으로 전해져 오다가 이번 국립중앙박물관회의 노력으로 국내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불감은 일제강점기 대구의 병원장으로 고미술 수장가였던 이치다 지로市田次郞가 소장한 후 광복 이후 그의 가족이 일본으로 가져갔고 약 30년 전에 고미술상이 구입하여 가지고 있었다. 

  불감은 축소된 불전佛殿으로 볼 수 있으므로 <고려 불감>이 향후 고려 말 불교미술 양상, 금속공예 기술과 함께 건축 양식을 연구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불감을 2018년 1월 9일 기증식에서 언론에 처음 공개하며, 이후 12월에 개최하는 특별전 <대고려전>(‘18.12.4.-‘19.3.3.)에 전시할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