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재궁골 국사 성황당과 산신각불교인사이드
불교와 민속: 산신각 | Posted by 불교문화전문기자 김종열 2013. 8. 7. 14:40

대관령 재궁골 국사 성황당과 산신각

반응형

대관령 재궁골 국사 성황당과 산신각

 

-대관령 성황이 된 범일국사와 산신 김유신 장군

 

 

해마다 음력 55일에 강릉 시내는 떠들썩하다. 양수인 5가 둘이나 겹쳐 일 년 중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다. 농경문화 중심의 우리민족은 이날 파종제를 하늘에 올리고, 본격적인 모내기에 들어간다. 단오는 수릿날, 천중절, 중오절, 단양절 등으로 불렸다. 민간에서는 단오세시풍습으로 물맞이, 창포물에 머리 감기, 씨름, 그네뛰기 등 다양한 민속 몰이들이 펼쳐진다.

특히 강릉지역 단오제는 대관령 성황과 산신에게 제의를 올리고, 강릉으로 모셔오는 신주빗기로부터 시작된다.

 

 

범일국사와 김유신 장군 그리고 허균

 

대관령 산신은 신라의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룬 김유신 장군이다. 이를 처음 기록으로 남긴 사람은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이다. 허균은 유교집안에서 태어나 유학을 학문의 기본으로 두고 있었으나 당시의 이단으로 지목되던 불교 · 도교에 대하여 사상적으로 깊이 빠져있었다. 특히, 불교에 대해서는 한때 출가를 생각하기도 했을 정도로 불교의 진리에 깊이 심취했다. 또한 불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고서도 자기의 신념에는 아무런 흔들림 없다고 당당히 밝혔다.

허균은 1603년에 명주에 머물며 단오제를 보고 기록을 남겼다. 김유신은 명주에서 공부하면서 대관령 산신에게 무예를 배웠고, 선지사에서 칼을 만들어 삼국을 통일했다. 그는 죽어서 강릉의 수호신, 산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김유신이 대관령 산신에게 무술을 배웠다는 것은 삼국시대 이전에도 산악신앙의 숭배가 있었다는 간접적인 증거다. 삼국유사에는 석탈해가 죽어 토함산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도 전해 신라인의 산신신앙의 단면을 알 수 있다.

강릉단오제의 주신으로 추앙되고 있는 국사성황신은 산신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떻게 자리를 잡은지는 정확하지 않다. 하지만 강릉 지역에서는 신라 고승 범일이 국사성황이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범일 스님을 대관령 성황으로 밝힌 기록은 1931년에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생활상태조사 강릉군대관령 새신부분에 "대관령에는 한 개의 성황이 있는데, 즉 범일국사로서 강릉에서 출생했다고 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국사성황인 범일국사는 신라 말과 고려 초까지 활동한 고승이다. 강릉시 구정면 학산 출생으로 탄생에 얽힌 설화가 전한다. 처녀가 해가 떠 있는 샘물을 마시고 태기가 있었고 아이를 낳았다. 처녀가 아이를 낳은 것이 두려워 뒷산 학바위에 버렸으나, 학이 보살펴 기이하게 여겨 다시 데려와 키웠다. 국사는 비범한 외모와 뛰어난 학문으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출가하여 신라 말에 국사가 되어 이름을 떨쳤다. 또한 죽어서 대관령 서낭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설화는 범일의 신이한 탄생과 모험 그리고 위인이 되고, 죽어서 신으로 등극하는 과정을 영웅담처럼 차례로 보여준다. 일부에서는 범일을 뜰 범(), 해일()자로 쓰기도 하는데, 이는 신화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원명은 범일(梵日)이며, 국사성황이 바로 신라 고승 범일국사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범일국사의 다른 모습

 

대관령 재궁골로 가는 길은 한적한 시골길을 지나 산으로 오르는 길은 아니었다. 동서울 터미널에서 진부와 횡계를 거쳐 강릉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중간 기착지인 횡계에서 내려야 한다. 지금은 복선화되어 새로 개통된 고속도로 덕에 2시간 정도면 도착이 가능하다. 횡계 지역은 시내버스가 드물다. 하는 수 없이 택시를 대절하여 재궁골로 이동했다. 대관령 휴게소로가는 구 도로를 이용하여 약 6KM 정도 가다, 대관령 목장을 지나 좌측으로 접어들면 재궁골이 자리한다. 대관령 능경봉에서 선자령으로 이어지는 능선 아래 계곡이다. 재궁골은 이 계곡의 동쪽 숲속의 빈터에 위치한 아늑한 곳에 국사성황 범일국사를 모신 성황사, 산신 김유신 장군을 모신 산신당이 있고, 기도처인 칠성당과 샘물 용정이 모여 있어 '신터'라 불리운다.

주차장을 지나 관리동 좌측으로 성황사가 보이고, 그 뒤로 산신각, 용정, 칠성목() 이 자리한다. 때마침 단오를 맞아 성황사에서는 신주굿이 벌어지고 있었다. 남자인 박수 무당이 조상신들에게 치성을 들이는 여인네를 성황신의 조력으로 재복을 비는 무속 신앙을 펼치고 있었다.

굿 판 너머로 보이는 성황신의 탱화는 기자가 상상했던 범일국사의 모습이 아니었다. 양옆으로 호랑이의 호위를 받으며 부관이 고삐를 쥔 백마를 탄 무관의 모습이다. 한손에는 활까지 쥐고 있다. 분명히 불교의 고승대덕의 모습은 아니다. 이는 무속 신앙인들이 바라는 모습으로 그형상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산세가 험하기로 유명한 대관령의 성황은 인자한 고승의 모습보다는 나그네와 마을을 지켜주는 무장의 모습이기를 염원한 탓이라 추정된다.

성황당 뒤편으로 자리한 산신각에서도 나의 예상은 그대로 빗나갔다. 김유신 장군의 모습을 상상하고 전각 앞에 다다르니, 여느 산신각과 같이 긴 수염에 상투를 틀고 한손에는 부채를 쥐었다. 동자의 선도 복숭아 공양을 받으며 옆으로 호랑이를 옆에 두었다. 이 탱화 역시 산신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변한 김유신의 또 다른 모습이다. 특히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부채다.

 

유교와 무교의 절묘한 만남

 

 

 

강릉단오제의 가장 재미있는 상황은 재궁골 성황당 앞에서 벌어진다. 불교나 무속을 사이비로 치부했던 유교식 제사가 단오를 앞두고 이곳 성황신인 범일국사에게 올려 진다. 유교식제사에 이어 무교식 굿 판이 벌어지는데, 상극의 이념을 가진 두 제의가 서로 충돌할 것 같지만 재궁골에서는 이를 모두 포용하는 자리를 펼친다.

단오제의 제례는 신주빚기부터 산신제, 성황제, 봉안제, 영신제, 네번의 조전제와 마지막으로 송신제 까지 9번의 제례를 지낸다. 제례를 지내는 형식은 모두 같은 절차에 의해 진행되고 신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제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강릉 단오제는 산행길의 안전이나, 바다를 접한 동해안 주민들의 풍어, 집안의 태평등을 기원하는 제의와 민속놀이의 전통 문화 요소들이 잘 보전되어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재궁골 역시 강원도 평창군에 속하지만 강릉시가 지역을 임대하여 관리하고 있다.

 

 

 

 

 

반응형